안녕하세요, 비트코인 트래커입니다.
이번에는 ICT 기반 매매 전략에 최적화된 트레이딩뷰 지표
「ICT 고래 따라잡기 🔍」를 소개해드립니다.
비트코인 차트를 좀 본다 하는 분들이라면,
요즘 유튜브나 해외 트레이딩 커뮤니티에서
ICT, FVG, 오더블록 같은 용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실제로 ICT 전략은 해외 트레이더들 사이에서
차트 분석의 끝판왕처럼 핫한 매매 기법이죠.
그런데 막상 ICT를 내 차트에 적용하려면?
유동성 구간은 어디고, FVG는 어떻게 찾고,
오더블록은 대체 어디에 그리는 건지,
하나하나 작도하다 하루가 다 지나갑니다.
그래서 이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해
ICT 전략의 핵심 요소들을 자동으로 표시해주는
ICT 고래 따라잡기 🔍 지표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복잡한 작도는 지표에 맡기고,
고래들의 다음 수를 미리 읽어보세요.
✅ 1. 오더블록 표시 (Order Block)
차트에서 고래들이 강한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쌓아두는
구간, 바로 그 흔적이 오더블록(Order Block)입니다.
이 지표는 최근 흐름에서 중요한 매수/매도 OB를
자동 탐지해 차트에 시각적으로 표시해줍니다.
오더블록은 고래들이 가격을 강하게 밀어올렸던
출발점이기 때문에, 되돌림이 나올 경우
강한 지지나 저항 구간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진입 타점으로 활용하기 좋고,
만약 해당 구간이 이탈된다면 손절 기준을
명확히 잡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 2. 유동성 구간 표시 (Liquidity Zone)
시장에는 항상 고래들이 노리는
유동성 포인트가 존재합니다.
바로 위에 숨어 있는 손절 물량(매수 유동성),
아래에 쌓인 매도 포지션의 손절 지점
(매도 유동성)들이 그것이죠.
이 지표는 그런 유동성 밀집 구간을 자동으로 탐지해,
차트 위에 선으로 표시해줍니다.
고래들이 손절 유도 후 반전시키는 지점,
즉 시장 조작 패턴이 자주 발생하는 구간이기 때문에,
유동성 구간 근처에서 급격한 반전 흐름이나
강한 거래량이 발생하는 걸 자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입이나 청산 타이밍을 잡을 때
유동성 위치를 기준점으로 삼으면
스마트머니의 의도를 역으로
추적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3. 불균형 구간 표시 (FVG, Fair Value Gap)
시장에 급격한 매수나 매도가 발생하면
캔들 사이에 생기는 갭(Fair Value Gap)이 발생합니다.
이 구간은 정상적인 유동성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불균형 상태로, ICT 전략에서는 다시 채워질 가능성이
높은 구간으로 해석합니다.
이 지표는 최근 흐름에서 발생한 FVG를 자동으로 감지해,
시각적인 박스로 차트에 표시해줍니다.
이 불균형 구간은 가격이 되돌릴 수 있는
유력한 지점일 뿐 아니라, 고래들이 거래를
숨긴 채 시장을 움직인 흔적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매매 전략에서는 FVG 터치 → 반전,
또는 FVG 진입 → 지속 같은 패턴을 참고해
진입과 청산 타이밍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4. 균형 가격 구간 표시 (BPR, Balanced Price Range)
BPR은 하락 FVG와 상승 FVG가 겹치는 구간
(또는 그 반대)으로, 매수와 매도 세력이 잠시
균형을 이룬 가격대입니다.
예를 들어, 하락 FVG 이후 상승 FVG가 생기면
Bullish BPR, 상승 FVG 후 하락 FVG가 겹치면
Bearish BPR로 표시됩니다.
이 구간은 형성 직후 단기간에 리테스트가 나오면
지지/저항으로 작용하고, 되돌림 없이 진행되면
그 방향으로 강한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5. 추세선 표시 (Trend Line)
최근 고점과 저점을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락 추세선을 자동으로 표시해줍니다.
손으로 일일이 작도하지 않아도
지금 시장이 어떤 흐름을 따라가고 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돌파나 눌림목 진입 같은 타이밍을 잡는 데 유용합니다.
현재 보고 있는 타임프레임 기준으로 작동하므로,
분석 시 해당 프레임 흐름에 집중해서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6. 시장 구조 표시 (Market Structure)
차트에서 추세가 유지될지 바뀔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자동으로 “추세 지속” (BOS), “추세 전환” (CHOCH)
이라는 한글 신호로 표시해줍니다.
- 추세 지속 (BOS): 이전 고점이나 저점을 돌파할 때 나타나, 기존 흐름의 연장을 알려줍니다.
(예: 상승 추세에서 이전 고점 돌파 시 추가 상승 가능성) - 추세 전환 (CHOCH): 기존 흐름과 반대로
이전 고점/저점을 깰 때 나타나, 추세가 반대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는 첫 번째 경고입니다.
(예: 상승 중 이전 저점을 깨면 하락 전환 가능성)
-
지표 설정에서 내부 구조(Internal) 또는 외부 구조(External)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거나
둘 다 표시할 수 있습니다.
- 내부 구조(Internal): 단기적이고 작은 가격 변동에서 나타나는 시장 구조
- 외부 구조(External): 장기적이고 주요한 시장 흐름에서 나타나는 시장 구조
-
또한 다음 기능도 제공합니다:
- EQL & EQH: 가격이 반복적으로 멈추는 동일
고점·저점을 표시하며, 이 구간을 돌파하면
급격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윙 포인트: HH(더 높은 고점), HL(더 높은 저점),
LH, LL 같은 시장의 주요 고점·저점을 자동으로
표시해, 시장 방향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7. 킬존 표시 (Killzone)
킬존(Killzone)은 단순한 세션 구분이 아닌,
기관이나 고래들이 본격적으로 유동성을 투입하는
핵심 시간대를 의미합니다.
특히 런던 세션 개장 전후, 뉴욕 세션 초반은
가격이 방향을 잡고 큰 흐름이
출발하는 시점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이 지표는 차트 아래에 아시아, 런던, 뉴욕 세션을
각각 색상 블록으로 시각화해 현재 시장이 어떤
시간대에 위치해 있는지를 한눈에 보여줍니다.
킬존은 매수·매도 포지션 진입 전 유동성 확보가 집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단순 진입 타이밍이 아니라
고래들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힌트로 작용합니다.
✅ 8. 상위 차트 캔들 표시 (HTF Candle)
현재 보고 있는 차트 오른쪽에 상위 타임프레임(HTF)의
캔들 흐름을 표시해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5분봉 차트를 보면서 4시간봉이나 일봉 캔들이
어떤 모양으로 진행 중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큰 흐름을 놓치지 않으면서 단기 타이밍을 정밀하게
잡을 수 있습니다.
멀티 타임프레임 분석을 활용하는 트레이더에게
특히 유용한 도구입니다.
✅ 9. 온체인 데이터 표시 (On-Chain Data)
가격만으로는 시장의 진짜 심리를 알기 어렵습니다.
이 기능은 비트코인 온체인 데이터를 차트 하단 테이블로
시각화해, 보이지 않는 자금 흐름과 투자자 심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표시되는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익/손실/본전 상태의 주소 비율
현재 가격 기준으로 이익을 보고 있는 지갑,
손실 중인 지갑, 본전인 지갑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이익 상태의 주소가 많다면 이익 실현에 따른 하락 압력이
커질 수 있고, 손실 상태의 주소가 많다면 가격 회복을
기다리는 심리가 우세할 수 있습니다.
- 거래소 유입/유출량 (코인 단위 및 USD 기준)
많은 물량이 거래소로 들어오면 매도 압력 증가,
거래소에서 빠져나가면 보유 심리 또는
축적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이때 전일 대비 증감률도 함께 표시되어
변화의 속도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채굴자 유입/유출량 (코인 단위 및 USD 기준)
채굴자가 보유 코인을 거래소로 보내면 보통
현금화 목적의 매도 시그널, 반대로 거래소에서
출금하면 보유 또는 전송 의도로 해석됩니다.
표는 전체 흐름을 한눈에 보기 쉬운
대시보드 형태로 구성됩니다.
각 항목에 마우스를 올리면 툴팁으로 개념과
해석 포인트도 함께 확인할 수 있어, 온체인 데이터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시세에만 의존하지 않고, 시장 내부의 진짜 움직임과
분위기를 읽고 싶은 분들께 특히 유용한 기능입니다.
✅ 10. 히트맵 캔들 표시 (Heatmap Candle)
캔들의 색상만 보고도 시장의 과열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이 기능은 회귀선(Regression Line)을 기준으로,
현재 가격이 평균 대비 얼마나 이탈했는지를 계산해
색상으로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시각화합니다.
가격이 평균보다 높게 치우칠수록 붉은 계열,
낮게 벗어날수록 푸른 계열로 표시되어
시장이 어느 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차트 하단에 히트맵 색상표(게이지 바)를
함께 표시해 현재 위치가 과매수/과매도 범위 중
어디에 가까운지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소 가격의 극단적인 움직임이나 반전 타이밍을
노리는 매매를 즐긴다면, 이 히트맵 기능은
매매 판단에 유용한 시그널을 줄 수 있습니다.
⚙️ 설정창 안내
「ICT 고래 따라잡기 🔍」 지표는 총 10가지 주요 기능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기능별 설정값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기본값으로도 충분히 직관적인 분석이 가능하지만,
자신의 매매 루틴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각 기능별 설정창 구성을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오더블록 기능부터 소개합니다.
1. 오더블록 (Order Block)
오더블록은 고래들이 강한 매수·매도 주문을
실행한 핵심 구간입니다.
가격이 이 영역에 되돌아오면 지지 또는 저항의 역할
을 하며, 진입 타점과 손절 기준 설정에 유리한
기준선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당 지표에서는 ‘브레이커 블록’ 표시
기능도 제공합니다.
브레이커 블록은 기존 오더블록이 무너진 후,
반대 방향으로 강한 흐름이 전개된 구간을 의미하며,
S/R Flip(지지와 저항의 전환) 개념으로 활용됩니다.
⚙️ 설정 설명
- 단기/중기 오더블록 표시:
- 단기: 15분봉 / 중기: 1시간봉 (기본값)
- 각각 개별 선택 가능하며, 동시에 함께 활성화해
비교 분석도 가능
- 표시할 오더블록 개수:
- 매수/매도 각각 1개 ~ 10개 설정 가능 (기본값: 3개)
- 색상 설정:
- 매수·매도 오더블록 영역과 라벨(텍스트) 색상
모두 개별 지정 가능
- 매수·매도 오더블록 영역과 라벨(텍스트) 색상
- 브레이커 블록 표시:
- 체크박스로 활성화 가능하며, 오더블록과
별도 색상 설정 지원
- 체크박스로 활성화 가능하며, 오더블록과
2. 유동성 구간 (Liquidity Zone)
유동성 구간은 고래들이 매수·매도 포지션 청산을
유도하기 위해 자주 노리는 가격대를
시각화해주는 기능입니다.
이 영역은 주로 저점 아래 매수 유동성, 고점 위
매도 유동성으로 형성되며, 가격이 해당 구간을
돌파한 뒤 급격히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손절 구간 설정, 반전 가능성 포착,
진입 타점 판단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설정 설명
- 단기/중기 유동성 구간 표시:
- 단기: 8시간 / 중기: 3일 기준 (기본값)
- → 각각 개별 선택 가능하며, 동시에 함께 활성화해 병렬 분석 가능
- 표시할 유동성 개수:
- 매수/매도 각각 1개 ~ 10개 설정 가능 (기본값: 1개)
- 색상 설정:
- 매수·매도 유동성 영역과 라벨(텍스트) 색상 모두 개별 지정 가능
- 지난 유동성 구간 표시:
- 체크박스로 설정 가능하며, 'Remove / Show' 옵션 선택 가능
3. 불균형 구간 (FVG, Fair Value Gap)
불균형 구간(FVG)은 가격이 빠르게 움직이며 체결되지
못한 거래 공백이 발생한 영역입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 간의 매수·매도 간 불균형을 나타내며,
ICT 기법에서 매우 중요한 진입·반전 타점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특히, 해당 영역은 고래들이 가격을 되돌려 채우는 움직임
(Retracement)을 보일 가능성이 높아 리스크 관리와
매수/매도 타점 판단에 핵심적인 참고 요소가 됩니다.
⚙️ 설정 설명
- 단기/중기 불균형 구간 기준:
- 단기: 차트 주기 기준 / 중기: 1일 기준 (기본값)
- → 단기/중기 구간을 개별로 설정하거나
동시에 병렬 표시 가능
- 표시할 FVG 개수:
- Bullish / Bearish 각각 1개 ~ 10개까지 설정 가능 (기본값: 3개)
- 색상 설정:
- Bullish FVG, Bearish FVG 각각 다른 색상으로
지정 가능 - 라벨(텍스트) 색상도 별도로 커스터마이징 가능
- Bullish FVG, Bearish FVG 각각 다른 색상으로
- 과거 FVG 구간 표시:
- 체크박스 활성화 시, 이전에 형성된 불균형 구간도
함께 표시됨 - 불필요한 히스토리 제거를 원할 경우 비활성화 가능
- 체크박스 활성화 시, 이전에 형성된 불균형 구간도
4. 균형 가격 구간 (BPR, Balanced Price Range)
BPR(Balanced Price Range)은 강세/약세 FVG가
겹치는 영역으로, 매수·매도 세력이 일시적으로
균형을 이루었던 구간입니다.
이 구간은 상승/하락 전환의 경계선이자, 가격이
한 차례 멈추거나 되돌릴 가능성이 있는
중립적 핵심 구간으로 인식됩니다.
📌 예를 들어, Bearish FVG 이후
Bullish FVG가 겹쳐지면 → 강세 BPR,
반대로 Bullish FVG 이후 Bearish FVG가
겹쳐지면 → 약세 BPR로 판단됩니다.
-
BPR은 짧은 시간 내 재진입 여부에 따라
지지·저항의 역할을 하거나, 재진입 없이
추세 지속의 단서로 활용될 수 있어
실전 매매에서 유용한 타점 기준이 됩니다.
⚙️ 설정 설명
- 표시 항목:
- ‘매수·매도 균형 구간 [BPR] 표시’ 옵션으로 기능 ON/OFF 가능
- 별도의 단기/중기 구분 없이 통합 표시됨
- 색상 설정:
- 강세 BPR / 약세 BPR 색상 각각 개별 지정 가능
- 라벨(텍스트) 색상도 커스터마이징 가능
5. 추세선 (Trend Line)
해당 기능은 차트에 상승/하락 추세선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지정한 개수만큼 최근의 주요 추세 흐름을 시각화해주며,
중심 방향을 파악하거나 트렌드 기반 전략을 수립할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하락·상승 추세선을 한 쌍(세트) 기준으로 표시하며,
필요에 따라 개수를 늘리거나 색상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 설정 설명
- 상승/하락 추세선 표시
▸ 체크 시 추세선이 자동 표시됩니다. - 표시할 추세선 개수
▸ 2개~20개 범위에서 짝수 단위로 설정 가능
(기본값: 2개)
▸ 상승 1개 + 하락 1개 = 총 1세트로 구성됩니다. - 색상 설정
▸ 상승/하락 추세선 각각의 색상을 개별 지정할 수
있습니다.
6. 시장 구조 (Market Structure)
시장 구조는 가격 흐름의 방향성과 전환 시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추세 지속(BOS) 또는 추세 전환
(CHOCH) 구간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차트에 한글로 표시되어 초보자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부구조(INTERNAL)는 더 작은 흐름의 전환을,
외부구조(EXTERNAL)는 큰 흐름의 변화와
주요 반전 구간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고점/저점 기반의 스윙 포인트와 평행 고점·저점
(EQL & EQH)도 시각화할 수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시장을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설정 설명
- 표시 방식 선택:
→ NONE / INTERNAL / EXTERNAL / ALL 선택 가능
→ 원하는 시장 구조만 골라 표시하거나,
전체 병렬 분석 가능 - 색상 설정:
→ 내부구조(INTERNAL), 외부구조(EXTERNAL)
각각 다른 색상 지정 가능
→ BOS / CHOCH에 따라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 - EQL & EQH 표시:
→ 다수 트레이더의 손절 유도 지점으로 작용하는
평행 고점/저점 위치
→ 체크 시 EQL은 ↑, EQH는 ↓ 아이콘으로 차트에 표시 - 스윙 포인트 표시:
→ HH / HL / LH / LL 표기를 통해 고저점 구조 및
추세 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
→ 추세 분석 및 구간 구분에 효과적
7. 킬존 (Killzone)
킬존은 ICT에서 스마트머니가 집중적으로 진입하거나
청산을 실행하는 핵심 시간대입니다.
예컨대 런던과 뉴욕 세션의 개장 타이밍에 시장 변동성과
유동성이 급증하는 구간으로, 이 시간대에 거래하면
승률과 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세션 전환 시점에 가격 급등·급락, 방향 반전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킬존 표시를 통해매수/매도
판단을 위한 타이밍 필터링을 하기에 효과적입니다.
⚙️ 설정 설명
- 아시아/런던/뉴욕 세션 표시:
∙ 각 세션을 개별적으로 ON/OFF 가능
∙ 원하는 조합으로 활성화해 전략에 맞게 분석 가능 - 최신 데이터만 표시:
∙ 체크하면 가장 최근 한 세션 정보만 차트에 남겨,
차트를 깔끔하게 유지하면서 최신 흐름에 집중 가능 - 시각화 방식:
∙ 세션 구간은 차트 하단에 색상 블록 형태로 표시
8. 상위 차트 캔들 (HTF Candle)
해당 기능은 현재 보고 있는 차트보다 높은 타임프레임
(HTF)의 캔들 구조를 하위 차트에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상위 캔들의 고점, 저점, 몸통 영역 등을 시각화함으로써,
중요 지지·저항, 반전 포인트, 가격 흐름의 압력대 등을
미리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중 타임프레임 분석(MTF)을 시도하는
트레이더에게 특히 추천되는 기능입니다.
⚙️ 설정 설명
- 상위 차트 캔들 선택:
∙ 2개의 상위 타임프레임을 동시에 선택 가능
(예: 4시간, 1일 등) - 표시할 캔들 수:
∙ 각 타임프레임당 최대 몇 개의 HTF 캔들을
표시할지 설정 가능 (기본값: 3개) - 세부 구성요소 색상 지정:
∙ 몸통, 테두리, 꼬리 각각 개별 색상 설정 가능
→ 가시성 및 분석 편의성 향상 - 라벨 색상 지정:
∙ 각 상위 캔들에 부여되는 텍스트 라벨 색상 설정 가능
9. 온체인 데이터 (On-Chain Data)
온체인 데이터는 블록체인 기반의 실시간 흐름을
반영하여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와 매매 압력을
해석하는 데 활용되는 정보입니다.
특히, 거래소 입출금량이나 이익 중인 주소의 비율,
채굴자 동향 등은 단기 가격 반응이나 추세 전환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해당 지표는 이러한 정보를 요약하여 표 형태의
대시보드로 시각화하며, 마우스를 올리면
각 항목에 대한 툴팁이 표시되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 설정 설명
- 대시보드 표시
∙ 체크 시 차트에 온체인 정보 대시보드가 표시됨 - 대시보드 크기
∙ ‘아주 작음’, ‘작음’, ‘보통’ 중 선택 가능
→ 차트 내 시야 확보 수준에 따라 조절 가능 - 대시보드 위치
∙ ‘우측 상단’, ‘우측 하단’, ‘좌측 하단’ 중 선택 가능
→ 트레이딩뷰 차트 레이아웃에 맞춰 유연하게
배치 가능
10. 히트맵 캔들 (Heatmap Candle)
히트맵은 캔들의 색상 변화를 통해 과매수·과매도 구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입니다.
캔들 색상이 차별화되어 나타나므로, 가격의 과열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거나 다른 기능과 함께 활용해
진입 또는 익절 포인트로 활용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특히 과매수 구간은 붉은 계열, 과매도 구간은 푸른 계열로
표시되어 시장 감정의 극단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히트맵 색상표를 통해 색상 강도의 의미를
해석하기 쉬우며, 시장 위치를 온도계처럼
직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설정 설명
- 히트맵 캔들
∙ 캔들 색상에 따라 현재 가격이
→ 과매수 구간일 경우 붉은 계열,
→ 과매도 구간일 경우 푸른 계열로 표현됨 - 히트맵 색상표
∙ 차트 하단에 색상 눈금 테이블을 표시
→ 좌측은 과매도(❆), 우측은 과매수(☀︎) 의미
→ 𖦹 아이콘은 현재 진행 중인 캔들이 히트맵 구간 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려주는 표시
⚙️ Tip
설정창의 ℹ️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리면 해당 기능의
설명이 표시되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ICT 기반 매매, 이론은 알겠는데
막상 차트에선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셨죠?
고점·저점마다 오더블록 그리랴, FVG 찾으랴,
시장 구조까지 파악하느라 기회는 눈앞에서 스쳐가고…
그래서 직접 만들었습니다.
ICT 고래 따라잡기 🔍 지표는 스마트머니의 발자국을
자동으로 추적해, 고래들의 다음 수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실전형 분석 도구입니다.
오더블록, 유동성, FVG, BPR, 추세선, 시장 구조까지
ICT 전략의 핵심을 차트 위에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 복잡한 작도는 지표에 맡기고,
당신은 가장 유리한 타이밍만 잡으세요.
흐름이 보이면, 대응이 쉬워지고
대응이 빨라지면, 수익은 따라옵니다.
이제, 고래들이 어디로 향할지
막연히 추측하는 대신 선명하게 따라가 보세요.
👉 지표 사용을 원하신다면 https://t.me/BTC_Tracker_KR
이곳으로 메시지를 보내주세요.
비트코인 트래커
비트코인만 팹니다.
t.me
'【 비트코인 지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차트 분석을 쉽게! 트레이딩뷰 코린이 지표 소개 (2) | 2025.06.30 |
---|